반응형
k-fold 교차 검증(k-fold cross-validation)은 기계 학습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통계적 방법 중 하나입니다. 주어진 데이터를 여러 개의 부분 집합으로 나누고, 각각의 부분 집합을 훈련 및 검증에 사용하여 모델의 성능을 평가합니다.
일반적으로 k-fold 교차 검증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됩니다:
- 데이터 분할: 주어진 데이터를 k개의 동일한 크기의 부분 집합으로 나눕니다. 이때, 각 부분 집합을 '폴드'라고 합니다. 예를 들어, k를 5로 설정하면 데이터는 5개의 폴드로 나누어집니다.
- 모델 훈련 및 검증: k개의 폴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검증 세트로 사용하고, 나머지 k-1개의 폴드를 훈련 세트로 사용하여 모델을 훈련합니다. 이 과정을 k번 반복하며, 각 반복에서 다른 폴드를 검증 세트로 사용합니다.
- 성능 평가: 각 반복에서 얻은 검증 세트의 성능 지표를 기록합니다. 예를 들어, 분류 모델의 경우 정확도(Accuracy)나 F1 점수(F1 Score)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이렇게 모든 반복이 완료되면, 성능 지표의 평균을 계산하여 최종 성능을 얻을 수 있습니다.
다음은 k-fold 교차 검증의 예제입니다:
- 데이터 분할: 전체 데이터셋을 5개의 폴드로 나눕니다.
- Fold 1: 데이터 1, 2, 3, 4, 5
- Fold 2: 데이터 6, 7, 8, 9, 10
- Fold 3: 데이터 11, 12, 13, 14, 15
- Fold 4: 데이터 16, 17, 18, 19, 20
- Fold 5: 데이터 21, 22, 23, 24, 25
- 모델 훈련 및 검증:
- 반복 1:
- 훈련 세트: Fold 2, 3, 4, 5 / 검증 세트: Fold 1
- 모델을 Fold 2, 3, 4, 5의 데이터로 훈련하고, Fold 1의 데이터로 검증합니다.
- 반복 2:
- 훈련 세트: Fold 1, 3, 4, 5 / 검증 세트: Fold 2
- 모델을 Fold 1, 3, 4, 5의 데이터로 훈련하고, Fold 2의 데이터로 검증합니다.
- 반복 3:
- 훈련 세트: Fold 1, 2, 4, 5 / 검증 세트: Fold 3
- 모델을 Fold 1, 2, 4, 5의 데이터로 훈련하고, Fold 3의 데이터로 검증합니다.
- 반복 4:
- 훈련 세트: Fold 1, 2, 3, 5 / 검증 세트: Fold 4
- 모델을 Fold 1, 2, 3, 5의 데이터로 훈련하고, Fold 4의 데이터로 검증합니다.
- 반복 5:
- 훈련 세트: Fold 1, 2, 3, 4 / 검증 세트: Fold 5
- 모델을 Fold 1, 2, 3, 4의 데이터로 훈련하고, Fold 5의 데이터로 검증합니다.
- 반복 1:
- 성능 평가:
- 각 반복에서 얻은 검증 세트의 성능 지표를 기록합니다.
- 예를 들어, 반복 1에서 모델의 정확도는 80%, 반복 2에서는 75%, 반복 3에서는 82%, 반복 4에서는 79%, 반복 5에서는 81%일 수 있습니다.
- 성능 평균 계산:
- 각 반복에서 얻은 성능 지표를 평균하여 최종 성능을 얻습니다.
- 예를 들어, 5번의 반복에서 얻은 정확도의 평균이 79.4%라면, 모델의 예상 성능은 79.4%입니다.
k-fold 교차 검증은 모델의 성능을 더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, 데이터의 분산을 줄이고 모델의 일반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력한 방법입니다.
'Data Scien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CA (Principal Component Analysis) 주성분 분석이란? (0) | 2023.06.02 |
---|---|
Bootstrapping 교차 검증이란 무엇인가? (0) | 2023.06.02 |
Data Science 를 위한 대표적인 R package 들은? (0) | 2023.05.25 |
머신러닝을 써야 할 때는 언제일까? (0) | 2023.05.25 |
Data Interpolation (0) | 2023.05.25 |